관리 메뉴

NineTwo meet you

[백준/자바] 1167 트리의 지름 본문

프로그래밍 문제/백준

[백준/자바] 1167 트리의 지름

NineTwo 2021. 4. 29. 13:52
반응형

1167 트리의 지름 사진클릭시 문제로 이동


문제

트리의 지름이란, 트리에서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중 가장 긴 것을 말한다.

트리의 지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트리가 입력으로 주어진다.

먼저 첫 번째 줄에서는 트리의 정점의 개수 V가 주어지고 (2 ≤ V ≤ 100,000)

둘째 줄부터 V개의 줄에 걸쳐 간선의 정보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정점 번호는 1부터 V까지 매겨져 있다.

먼저 정점 번호가 주어지고, 이어서 연결된 간선의 정보를 의미하는 정수가 두 개씩 주어지는데, 하나는 정점 번호, 다른 하나는 그 정점까지의 거리이다.

예를 들어 네 번째 줄의 경우 정점 3은 정점 1과 거리가 2인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정점 4와는 거리가 3인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각 줄의 마지막에는 -1이 입력으로 주어진다. 주어지는 거리는 모두 1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트리의 지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1 3 2 -1
2 4 4 -1
3 1 2 4 3 -1
4 2 4 3 3 5 6 -1
5 4 6 -1

예제 출력 1

11

설명

트리의 지름을 구하는 문제로 이전 문제

2021.04.29 - [프로그래밍 문제/백준] - [백준/자바] 1967 트리의 지름 와 같다.

 

다만 입력의 형태를 달리 해줘야 한다.

for(int i = 0; i < n;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p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현재정점의 번호
			
	for(int j = 0; ; j += 2) {
		int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이어진 정점의 번호
		if(c != -1) { // -1이 아니면 이어진 정점의 번호
			int w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이어진 정점까지의 거리
			al[p].add(new node(c,w));
			al[c].add(new node(p,w));
		}else { // -1이면 이어진 정점의 번호가 아닌 끝을 의미
			break;
		}
	}	
}

 

역시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1. 한 정점에서 dfs를 활용해 가장 먼 노드를 구한다.

2. 1에서 구한 노드를 시작으로 가장 긴 경로를 구한다. => 답

 

코드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