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NineTwo meet you

[백준/자바] 1068 트리 본문

프로그래밍 문제/백준

[백준/자바] 1068 트리

NineTwo 2021. 4. 28. 20:22
반응형

1068 트리 사진클릭시 문제로 이동


문제

트리에서 리프 노드란, 자식의 개수가 0인 노드를 말한다.

트리가 주어졌을 때, 노드 하나를 지울 것이다.

그때, 남은 트리에서 리프 노드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노드를 지우면 그 노드와 노드의 모든 자손이 트리에서 제거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트리가 있다고 하자.

현재 리프 노드의 개수는 3개이다.

(초록색 색칠된 노드) 이때, 1번을 지우면, 다음과 같이 변한다.

검은색으로 색칠된 노드가 트리에서 제거된 노드이다.

이제 리프 노드의 개수는 1개이다.

입력

첫째 줄에 트리의 노드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0번 노드부터 N-1번 노드까지, 각 노드의 부모가 주어진다.

만약 부모가 없다면 (루트) -1이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지울 노드의 번호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트리에서 입력으로 주어진 노드를 지웠을 때, 리프 노드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1 0 0 1 1
2

예제 출력 1

2

예제 입력 2

5
-1 0 0 1 1
1

예제 출력 2

1

예제 입력 3

5
-1 0 0 1 1
0

예제 출력 3

0

예제 입력 4

9
-1 0 0 2 2 4 4 6 6
4

예제 출력 4

2

설명

트리를 탐색하는 문제다.

문제를 제대로 읽어야 하는 게 처음 문제를 풀었을 때 예제만을 보고 무조건 0번만 root노드가 된다고 착각하고 문제를 풀어서 바로 틀렸습니다를 받았다.

for(int i = 0; i < n; i++) {
	int nod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node != -1) {
		al[node].add(i);
	}else { // root index 저장
		start = i;
	}
}

 

한 가지 더 유의해야 할 점은 지운 노드가 root인 경우 0을 출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root 노드부터 인접한 노드를 살펴보다가 삭제한 노드인 경우 더 이상 방문하지 않고 삭제하지 않고 계속 방문한 노드가 자식이 없는 경우 답+1을 해줬다. 

 

코드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