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년 AI Big Data 아카데미 13기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자바
- m1 docker
-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java
- 빅분기실기
- docker 완전 삭제
- 코드업 1020 java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java
- 최단 경로 알고리즘
- 핸즈온 머신러닝
- m1 docker install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파이썬
- 코드업 1020 자바
- codeup 1020 java
- 프로그래머스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파이썬
-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python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python
- 빅데이터분석기사
- 트리의 지름 자바
- 최소 스패닝 트리
- 청년 Ai Big Data 아카데미
- codeup 1020 자바
- docker remove
- docker 삭제
- 프로그래머스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자바
- 프로그래머스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자바
- 프로그래머스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python
- 프로그래머스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파이썬
- 최소 스패닝 트리 자바
- 트리의 지름 java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반응형
반응형
(479)
NineTwo meet you
input input() 함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가 있다. 프롬프트를 띄워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물론 생략 가능하다. 1. 프롬프트 사용 >>> a = input("좋아하는 숫자를 입력하시오 : ") 좋아하는 숫자를 입력하시오 : 92 >>>a '92' 2. 프롬프트 생략 >>> a = input() "Hello python world" >>> a 'Hello python world' print 1. print를 통해 자료형을 출력할 수 있다. # 1. 숫자 출력 >>>print(1) 1 # 2. 문자열 출력 >>>print("apple") apple # 3. 리스트 출력 >>>print([1,2,3,4,5]) [1,2,3,4,5] # 4. 튜플 출력 >>> print((1,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ygrx/btqJoKfLHZp/FibzxPgnPurwvvskxVN9k1/img.png)
수학에서 배웠듯이 함수는 y = f(x)의 형태다. 쉽게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부분(f)을 만들어 입력값(x)이 주어졌을 때 결괏값(y)을 돌려주는 것이다. 1. 입력값과 결괏값 둘 다 존재하는 경우 def 함수명(매개변수): 수행할 문장 1 수행할 문장 2 ... return 결괏값 #사용 1 >>>변수 = 함수명(매개변수) # 사용 2 >>>함수명(매개변수) def sum(num1, num2): return num1+num2 >>>sum(1,2) 3 2. 입력값만 존재하는 경우 def 함수명(매개변수): 수행할 문장 1 수행할 문장 2 ... #사용 >>>함수명(매개변수) def hi(str): print("hi {}~~!". format(str)) >>>hi("Woody") hi Woody..
if문 조건문으로 조건이 참인 경우에 속한 문장들을 실행하게 된다. 수행할 문장들은 같은 들여쓰기(tap 또는 spacebar*4)를 해야한다. 해당 조건이 참일때 아무 문장도 실행하고 싶지 않다면 pass를 사용하면 된다. 1. 조건이 1개일때 if 조건1: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 2 ... 2. 조건이 2개일때 if 조건1: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else 조건2: 수행할 문장3 수행할 문장4 ... 3. 조건이 여러개일때 if 조건1: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elif 조건2: 수행할 문장3 수행할 문장4 ... else: 수행할 문장 5 수행할 문장 6 수행할 문장 7 ... while문 반복문으로 조건문에 만족하는 동안 수행할 문장을 계속 실행한다. while문을 강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Ey6dX/btqI7wDhJza/jgMBATOVeUg7KBO8EAOfW1/img.png)
집합과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료형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 많이 사용한다. 순서가 없다. 순서가 없기떄문에 인덱싱을 통해 값을 얻을수 없다. 인덱싱으로 값을 얻기위해서는 리스트나 튜플의 자료형으로 변환해서 사용해야 한다. >>>s = set([1,2,3,1,2,5,6]) >>>s {1, 2, 3, 5, 6} #집합 -> 리스트 변환 >>>l = list(s) >>>l [1,2,3,5,6] #집합 -> 튜플 변환 >>>t = tuple(s) >>>t (1,2,3,5,6) 합집합 >>>s1 = set(['a', 'b', 'c', 'd', 'e', 'f']) >>>s2 = set(['d', 'e', 'f', 'g', 'h', 'i']) # 1. | 이용 >..
단어 그대로 사전이라는 뜻이다.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를 한쌍으로 갖는 자료형이다. {}로 둘러싸서 만들어지고 key:value형태로 요소가 구성되며 각각은 ,(콤마)로 구분된다. 딕셔너리 쌍 추가 딕셔너리[key] = value 형태로 딕셔너리에 key: value 쌍을 추가한다. key값으로는 정수, 문자열, 튜플등 데이터가 정해지고 변하지 않는 값만 가능하다. key값은 중복으로 올 수 없다. >>> a = {1:'orange', 'tomato':2, (3,):4} >>>a {1: 'orange', 'tomato': 2, (3,): 4} >>>a[8] = 'kiwi' >>>a {1: 'orange', 'tomato': 2, (3,): 4, 8: 'kiwi'} >>>a['toy'] = ['bu..
리스트와의 차이점 리스트는 []로 둘러싸여 있지만 튜플은 ()로 둘러싼다. 리스트는 값의 생성, 삭제,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수정과 삭제가 불가능하다. 다른 말로 튜플은 읽기 전용이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1개의 요소만을 가질 때 요소 뒤에 , (콤마)를 붙여야 한다. 요소 여러 개를 나열하고 괄호( )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리스트 관련 함수 중 내용을 확인하는 함수만 튜플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ex> index, count) >>>a = () >>>b = (1,) >>>c = (1,2,3) >>>d = 1,2,3,4 튜플 인덱싱 >>>a = ('toy', 'buzz', 'woody', 'rex', 'story') >>>a[1] 'buzz' >>>a[-1] 'story' 튜플 슬라이싱 >>>a ..
리스트란 여러 개의 값을 담을 수 있는 변수다. 리스트 요소로 숫자, 문자열, 리스트 자체 등 어떤 자료형도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아무것도 포함되지 않은 [](빈 리스트)일 수도있다. 리스트 인덱싱 문자열 처럼 리스트도 인덱싱을 적용 시 킬 수 있다. 여기서도 주의할 점은 리스트의 시작 인덱스는 0이라는 점이다. >>>a = [1,2,3,4,5,["apple", "tomato","kiwi"], "flower", "tree"] >>>a[0] 1 >>>a[5] ['apple', 'tomato','kiwi'] >>>a[5][1] 'tomato' >>>a[-1] 'tree' 리스트 슬라이싱 문자열처럼 리스트도 슬라이싱을 적용 시 킬 수 있다. 여기서도 주의할 점은 리스트의 시작 인덱스는 0이라는 점이다. >..
문자열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문자열은 다음과 같이 4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문자열' "문자열" '''문자열''' """문자열""" 문자열 더하기 >>>a = 'Have a' >>>b = ' nice day!' >>>a+b 'Have a nice day' 문자열 곱하기 >>>a = ' good!! ' >>>a*3 ' good!! good!! good!! ' Escape 코드 프로그래밍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해둔 문자 조합이다. \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문자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문자 '(작은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문자 "(큰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I8aJ4/btqI6OwKDAg/XF16Q211bxGCG1Gd2u6oLK/img.png)
주석처리 #를 이용해 한줄을 주석처리 할 수 있다. 여러줄을 주석처리하고 싶은 경우 "(큰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를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해 주석처리를 할 수 있다. #한줄 주석처리 ''' 여러줄 주석 처리 ''' """ 여러줄 주석 처리 """ 자료형 정수, 실수형, 복소수, 진수 같은 것들이 있다. 타입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type(자료형)과 같은 형태로 확인 할 수 있다. 2진수 2진수는 0b숫자형태로 표현된다. 10진수 -> 2진수 변환 bin(10진수 숫자) 8진수 8진수는 0o숫자형태(숫자 0과 소문자 o) 또는 0O숫자형태(숫자 0과 대문자 O)로 표현된다. 10진수 -> 8진수 변환 oct(10진수 숫자) 16진수 16진수는 0x숫자형태로 표현된다. 10진수 -> 16진수 변환 hex(..
출처 문제 & 제한사항 & 예제 더보기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